[메인으로 이동]
GCP
구체적인 측량용이 아닌 모니터링을 위한 현장 상황을 생성할 경우, GCP 작업을 건너뛸 수 있습니다.
단, GCP 미적용 시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GCP 미적용 시 문제점]
1.
높이 정보(Z축 데이터)가 현장에 맞지 않은 임의의 값으로 나옴
(예 : 현장의 실제 높이는 60m , 하지만 드론 데이터에 나타나는 높이 값은 -110m 값으로 나옴)
2.
다른 날짜의 현장 상황과 현장의 위치가 조금씩 뒤틀린 (x,y,z) 값의 오차 발생.
오차의 범위는 대략 5cm~ 2m
3.
모델링 퀄리티 저하 → 측량 오차 값 커짐
GCP 작업 전 확인사항
EPSG 코드
•
GCP 작업을 성공적으로 처리하려면 GCP 지점을 측량할 때 사용한 EPSG 코드(좌표계)가 필요합니다.(EPSG 코드와 GCP 측량에 사용된 코드가 다를 경우 처리할 수 없습니다.)
GPS 측기를 이용하여 4개 이상의 GCP 지점을 측량
•
메이사 플랫폼에서 (오차가 적은)정확한 모델을 만들기 위해서는 4개 이상의 GCP 지점이 필요합니다.
•
각 GCP 지점이 현장 내부를 둘러싸는 모양으로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현장의 드론 촬영 범위를 벗어나서는 안 됩니다.
GCP 배치 화면
GCP 표기점이 드론 사진에서 명확하게 촬영되었는지 확인
•
드론 촬영 사진에서 쉽게 식별 가능한 지점이 필요합니다. 현장 근처에 별도의 표식을 만들어 이용할 수도 있고, 표식 생성이 어려울 경우엔 명확하게 식별이 가능한 주변 환경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맨홀 뚜껑, 도로 마킹 등)
•
사진에서 GCP 표기점이 명확하게 보이지 않으면 GCP 지점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GCP 표기점 예시
GCP 표기점 예시
GCP 지점을 바라보는 사진의 매수가 많을수록 정확
•
GCP 표기가 된 사진의 수가 적은 경우 오차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GCP 파일이 형식에 맞게 작성되어 있는지 확인
•
'양식 보기' 에 업로드 되어있는 형식대로 파일이 작성되어 있는지 확인.
GCP(지상기준점) 파일 업로드
사진 업로드 완료 후 우측 하단 밑 ‘다음’ 버튼을 선택하면 'GCP 보정' 단계로 넘어가며 GCP 보정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GCP 보정 넘어가기 전 화면
GCP 파일 업로드 및 EPSG 코드(좌표계) 설정
•
GCP 파일이 양식에 맞는지 확인한 후, 업로드를 진행합니다. (GCP 파일은 csv 또는 txt 파일로 업로드를 진행 해야 합니다.)
•
GCP 측량에 사용한 좌표계를 선택한 후, GCP 파일을 추가 해줍니다.
기존 GCP 다운로드
기존 GCP 파일 다운로드
•
GCP가 변동이 없을경우 전 프로젝트에서 우측상단에 다운로드 클릭 후, GCP를 다운로드 해줍니다.
GCP 신규작성 방법
GCP csv 예시
GCP txt 예시
•
GCP가 변동이 있을경우 위와 같이 txt 또는 csv파일로 작성해야 합니다.
•
GCP이름, X 좌표, Y 좌표, Z 높이 값 순서대로 작성해야 합니다.
EPSG 코드가 틀리거나 GCP 자료에 오류가 있거나 현장과 다른 좌표를 설정 시 GCP 업로드가 불가능합니다.
GCP 파일 업로드 오류 화면
GCP 마킹
GCP 에디터 작업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
측량을 마친 모든 GCP 표기점을 사진에서 찾아 정확한 지점에 마우스 커서를 위치한 후, 오른쪽 클릭을 하면 마커가 추가됩니다.
•
‘GCP 목록’에 나열된 GCP들을 하나씩 클릭하여 선택된 이미지에 마킹을 진행합니다.
•
'GCP 이미지 목록'에서 GCP 표기점이 포함된 모든 사진에 대해 마킹합니다.
(GCP 1개 당 최소 3개)
•
‘GCP 자동 추천’ 기능을 사용하여 보다 빠른 마킹이 가능합니다.
◦
GCP 이미지 목록에 나열된 이미지들 중 최소 한개만 마킹 후 ‘GCP 자동 추천’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
최대 2분정도의 분석 후 나머지 이미지들에 대하여 GCP위치 추천이 들어갑니다.
◦
초록색으로 표시된 마커는 ‘마킹이 완료된 이미지’ 검정색으로 표시된 마커는 추천기능이 적용된 ‘마킹이 필요한 이미지’를 뜻합니다.
•
해당 GCP 표기점이 포함된 사진을 모두 처리한 경우, 'GCP 목록'에서 다음 GCP 지점을 선택하여 위의 작업을 반복합니다. (최소 3개 GCP)
•
모든 GCP 지점에 대한 마킹이 끝났을 경우, 우측상단의 ‘마킹완료’ 버튼을 눌러 GCP 에디터를 종료합니다.
[GCP 사용 주의사항 및 Tip]
1.
GCP 지점은 드론 촬영 시 장애물로 가려지지 않는 위치로 선택합니다.
예) 1m 이상의 높은 벽, 나무, 전기줄 등 GCP 표기점을 가릴 수 있는 물체
2.
GCP 지점은 가능한 넓고 평평한 지면 위의 위치로 선택합니다.
3.
현장 크기에 따라 필요한 GCP의 개수가 다를 수 있습니다.
(현장 크기는 상대적이므로 개수에 대한 내용은 현장 담당자에게 연락을 통하여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각 GCP 지점 간의 거리는 짧을수록 유리하며, 현장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하되, 현장의 너무 끝쪽 가장자리에 위치 시켜 GCP 표기점이 포함된 사진의 매수가 지나치게 적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예비 GCP 지점을 1 ~ 2개 정도 추가로 취득하는 것이 좋습니다. (GCP 점이 유실될 경우를 대비)
6.
GCP 지점에 대한 현장 사진을 따로 촬영하여 보관해두면 GCP 에디터 작업 시 유용할 수 있습니다. (주변이 보이게 측기를 들고 서있는 모습 등)
7.
고저차가 심하게 발생하는 구간은 GCP간격과 상관없이 GCP를 취득하는 것이 좋습니다.
8.
유지관리의 편의를 위해 최대한 현장 내에서 유실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이전 매뉴얼
다음 매뉴얼 →
설명되지 않은 부분이 있나요?
걱정하지 마세요! 지원팀(help@meissa.ai)으로 이메일을 보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