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issa
home
메이사 소개
home
💻

드론 데이터 플랫폼 사용 (2)

[메인으로 이동]

4.5 이미지 현장상황 상세화면 (3D - 사이드 바)

[공통] 3D 뷰어 컨트롤 방법

3D - 스크롤 : 확대 /축소 화면
마우스 가운데 스크롤을 이용하여 확대 및 축소를 할 수 있습니다.
3D - 좌클릭 : 축방향 이동
3D 모델의 축 이동(예 : 평면 -> 입면)을 할 경우 마우스 좌클릭을 한 채로 위/아래로 움직이면 축 이동을 할 수 있고, 좌/우로 움직이면 축 회전이 가능합니다.
3D - 우클릭 : 위치 이동
이동하고 싶은 객체의 지점을 선택한 후 마우스 우클릭을 누른 채로 마우스를 위/아래, 좌/우로 움직이면 해당 모델을 보기 좋은 위치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0) 분석 데이터

3D 점

3D화면(3D점 - Point Cloud)
3D 화면을 통해 2D 정사사진으로 볼 수 없는 구역을 볼 수 있습니다.
3D 모델은 '3D점', '3D면(Mesh)', '계획고', 'BIM' 4가지 형태로 뷰어가 제공됩니다.
[3D 점 데이터 안내]
3D점 데이터는 각 지점별 데이터를 점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공합니다.
점 크기 조절을 하시면 각 점 데이터의 사이즈가 변화하며 크기가 클수록 빈 공간 없이 지도를 볼 수 있으나 정확한 위치의 데이터가 부정확해지고 크기가 작을수록 빈 공간이 생기나, 지점 별로 정확한 데이터를 갖습니다.

3D 점 - 지도도구

3D - ‘위치 추가’ 화면
3D 점 뷰어에서 '위치 추가' 버튼을 클릭하고 지도에 점을 찍어 위치의 X, Y, Z 좌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D - ‘선분 추가’ 화면
3D 점 뷰어에서 '선분 추가' 버튼을 클릭하고 지도에 두 점을 찍어 길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D - ‘높이 추가’ 화면
3D 점 뷰어에서 '높이 추가' 버튼을 클릭하고 지도에 두 점을 찍어 높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D 지도도구 활용 안내]
3D 지도도구는 점 데이터 뷰어에서만 활용 가능합니다.
3D 지도도구는 휘발되는 정보로, 도구를 저장하지 않아 페이지를 새로고침 할 경우 데이터가 사라집니다.
선분도구의 경우 최대 2개의 점(하나의 선분)으로만 생성 가능합니다.

3D 점 - BIM과 비교

BIM파일을 업로드하신 경우, 3D 점데이터 위에 정합하여 BIM모델 확인이 가능합니다.
3D 화면(3D점 - BIM과 비교)
3D점에서 'BIM과 비교' 토글을 켜주세요.
확인하고 싶은 BIM 파일명 우측의 체크박스 ON/OFF를 통해 보고싶은 파일을 골라볼 수 있습니다.
BIM 모델에 좌표 정보가 제대로 입력되었는지 확인하세요. BIM 모델의 좌표 정보가 없을 경우, 3D점 데이터 정중앙에 BIM이 위치합니다.

3D 면

3D 화면(3D면 - Mesh)
[3D 면 데이터 안내]
3D점 데이터는 각 지점별 데이터를 면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공합니다.
매끄럽고 자연스럽게 현장의 모습을 3D로 확인할 수 있으나 지도도구 활용은 불가능합니다.

(1) 비교 데이터

계획고

계획고 파일은 현황고와 함께 3D 형태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D 화면(계획고)
계획고와 현황고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어 특정 구간에 작업 진행량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BIM

BIM파일을 업로드 시 플랫폼에서 BIM모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D 화면(BIM)
BIM파일 업로드는 좌측 메뉴 바의 BIM 부분에 ‘+파일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추가할 수 있습니다.
3D - BIM - 파일 추가
플랫폼 사용 시 모든 파일은 프로젝트에 귀속되며 보관함에서 특정 날짜의 현장 상황으로 연동 시키거나 해제할 수 있습니다.
BIM 파일은 rvt, ifc 형식을 지원하며 100MB 이하여야 합니다.
BIM 파일의 최대 업로드 개 수는 10개입니다.
[3D 지도 화면 사용법]
스크롤 : 확대/축소
좌클릭 : 축방향 이동
우클릭 : 위치 이동

(3) 기타

기타 파일

현장에서 쓰이는 모든 파일을 업로드 및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기타 파일 - 파일 추가
[Tip]
모든 파일 형식을 용량 제한없이 업로드 가능합니다.
웹하드 대용으로 파일을 자유롭게 공유하세요.
업로드 한 기타 파일은 [보관함에서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우측 리스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안내]
부여된 권한에 따라 기타 파일 추가 및 다운로드 권한이 없을 수 있습니다.
기타 파일의 경우
현장 날짜와 관계 없이 전체 프로젝트에서 확인할 수 있어 연동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2D와 3D와 관계 없이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4.6 전경사진

일자 별로 촬영한 전경사진을 등록하고 히스토리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현장상황 목록 - 전경사진 보기
현장상황 목록 - 전경사진 추가
[안내]
최대 파일 용량 = 50MB / 지원 파일 형식 = jpg, png 입니다.
구역을 맞춰서 등록해주세요. (이미 등록한 전경사진의 구역 이동은 ‘수정’ 버튼을 통해 가능합니다.)
메이사 플라이트(Meissa Flight)앱의 전경사진 촬영 기능을 활용해보세요! 매일 촬영하는 전경사진, 이제 완벽히 동일한 위치에서 자동으로 촬영해보세요.
한 번의 수동비행 후, 위치를 저장하세요. 이후엔 터치 한 번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전경사진을 촬영하고 기록할 수 있습니다.
 iPad App Download

4.7 영상

영상 현장상황을 통해 특정 날짜의 현장 영상을 업로드하여 공유,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영상 업로드 화면
영상 현장상황 탭에서 '현장상황 추가' 버튼을 누르면 영상 파일 업로드가 가능합니다.
영상 업로드는 mp4, mov 형식을 지원하며 파일 용량은 1.5GB까지 지원됩니다. 지원 형식이 아니거나 용량이 너무 클 경우 파일을 변환하신 후에 업로드해주세요.
업로드 후 영상 썸네일을 클릭하시면 TIL(타임라인)과 같이 업로드 날짜별 영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인의 계정 권한이 방문자가 아니라면 각 영상 현장상황의 (...) 버튼을 통해 현장상황을 (수정, 삭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각 프로젝트 별 부여 권한에 따라 (...) 버튼 클릭 시 보이는 메뉴가 다를 수 있습니다.

4.8 360 파노라마

360 파노라마 현장상황을 통해 특정 날짜의 현장 파노라마 이미지를 업로드하여 공유,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노라마 현장상황 추가 화면
360파노라마 현장상황 탭에서 '현장상황 추가' 버튼을 누르면 영상 파일 업로드가 가능합니다.
360파노라마 업로드는 jpg, png 형식을 지원하며 파일 용량은 500MB까지 지원됩니다. 지원 형식이 아니거나 용량이 너무 클 경우 파일을 변환하신 후에 업로드해주세요.
업로드 후 이미지 썸네일을 클릭하시면 촬영 날짜의 현장상황을 360도 회전 이미지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인의 계정 권한이 방문자가 아니라면 각 영상 현장상황의 (...) 버튼을 통해 현장상황을 (수정, 삭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각 프로젝트 별 부여 권한에 따라 (...) 버튼 클릭 시 보이는 메뉴가 다를 수 있습니다.

4.9 실내

Meissa Scan으로 업로드 한 360 촬영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내 - 건물 목록 화면
관리자 권한이 있는 경우, Meissa Scan 혹은 PC에서 새 건물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생성한 건물을 클릭하여 들어가시면 360카메라로 촬영한 영상과 워크스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영상 - 새로 추가
[새로 추가] 버튼 클릭 후 폴더를 생성하거나 360영상 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습니다. (mp4/용량 제한 없음)
건물 수정
뷰어 우측 상단의 [수정] 버튼 / 건물 목록 썸네일 - [더보기] 버튼을 통해 건물 정보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수정한 건물 정보는 Meissa Scan 앱에서도 동일하게 반영됩니다.

워크스루 / 360 영상 뷰어

실내 - 워크스루
같은 건물에 여러 번 영상을 촬영하여 업로드할 경우, 시간순으로 왼쪽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바닥의 화살표를 클릭하거나, <> 버튼을 클릭하여 앞 뒤로 뷰어를 한 칸씩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용 안내
업로드 한 영상을 워크스루(로드뷰) 형태로 변환하기 위해 작업 시간이 소요되며(약 20분 ~ 5시간 이내) 변환 중에는 썸네일 및 뷰어가 보여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뷰어 토글
우측 상단의 [360 영상] 토글을 클릭하시면 원본 영상을 360도로 회전하며 재생할 수 있습니다.

영상 이동/ 삭제/ 다운로드

실내 - 영상 이동
업로드 된 영상 파일명에 마우스를 올리시면 [다른 폴더로 이동] 아이콘이 노출됩니다. 해당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영상을 다른 폴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실내 - 영상 관리 - 더보기
[영상 관리] 버튼을 클릭하시면 업로드 된 전체 폴더와 영상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삭제 가능)

평면도(미니맵)

평면도(미니맵)
평면도(미니맵)을 생성하시면, 워크스루 지도로 활용되어 도면과 현장을 보다 손쉽게 비교할 수 있습니다.
- 이용 편의를 위해 한 건물에 1개의 평면도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 지원하는 평면도 파일 형식은 png, jpg, pdf, dxf 입니다. (최대 파일 용량: 50MB)
평면도(미니맵) - 업로드 완료
정상적으로 평면도 파일이 업로드 되었다면, 워크스루 좌측 하단에 [미니맵 생성] 버튼이 나타납니다.
미니맵 생성
1.
좌측 화면에서 마커를 자유롭게 드래그하여 배치하기 편한 곳으로 이동해주세요. (상하 혹은 좌우 양끝 추천)
2.
우측 화면에서 마커를 드래그하여 촬영 시 이동한 경로에 맞게 크기를 조정해주세요.
3.
조정이 끝났다면, 우측 상단의 [완료]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혹시 이동 경로가 반대로 나왔다면, 좌측 화면에 있는 [▷]좌우 반전 버튼을 활용해보세요.
미니맵 생성 - 완료
미니맵 생성을 완료했다면 워크스루 하단에 미니맵 영역이 나타납니다.
워크스루 이동 시, 내 위치를 중심으로 미니맵의 중심도 함께 이동합니다. (드래그/드롭을 통해 수동으로 평면도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습니다.)
미니맵 - 확장
멀리 이동하고 싶다면, 미니맵 내 회색 동그라미 부분을 클릭하시면 한 번에 위치 이동이 가능합니다.
- 미니맵 내 확장 버튼을 통해 미니맵 화면을 확장하여 볼 수 있습니다. - 미니맵 내 확대/축소 버튼을 통해 평면도 크기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미니맵 - 보기/끄기, 초기화, 다운로드/삭제
미니맵 설정 후 워크스루에서 보지 않길 원하신다면 보기 토글을 끌 수 있습니다.
미니맵 위치를 새로 지정하고 싶으시다면 [초기화] 버튼을 클릭하세요.
평면도 파일 우측 더보기를 클릭하시면 다운로드 혹은 삭제가 가능합니다. * 평면도 파일 삭제 시, 생성되었던 모든 미니맵도 함께 삭제되오니 이용에 유의해주세요.
설명되지 않은 부분이 있나요? 걱정하지 마세요! 지원팀(help@meissa.ai)으로 이메일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