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issa
home
메이사 소개
home
🛸

드론 비행 어플 사용

[메인으로 이동]
DJI 드론
DJI 드론 사용 시 기본적인 세팅을 위한 앱으로 'DJI Go 4' 어플 사용 추천.
안드로이드 이용 시 - 'Ctrl+Dji', 'Pix4d Capture', 'DJI Go 4' 3가지 앱 별도 설치 필요.
DJI Go 4 을 사용하여 "Officially Supported" 문구 확인이 뜨는 카메라와 렌즈를 이용하여 테스트 확인 후 사용.
비행 전 드론에서 생길 수 있는 문제 체크리스트 확인.
드론 비행 제어 어플리케이션 설정(기본설정, 고급설정)을 통한 사진 촬영. (드론 제어 앱 추천 : 'DJI GS Pro', 'Pix 4D Capture', Drone deploy')
Autel 드론
Autel 드론 사용 시 기본적인 세팅과 경로 비행 모두 ‘Autel Explorer’ 어플 사용

1.5 드론 촬영 제어 앱 사용

DJI 드론
비행 제어 앱 사용 전 'DJI Go 4' 앱을 실행하여 드론의 상태를 점검합니다.
배터리 용량과 GPS 수신 상태, IMU와 캘리브레이션 상태, 조종기와 연결 상태를 확인 후. "비행 준비 완료"가 뜬 상태까지 확인 후 드론 비행 제어 앱을 실행합니다.
DJI Go 4 앱을 통해 드론 상태 점검을 하신 후 꼭 수동 비행을 통해 자동 비행 경로 위치에 대하여 비행에 위험이 없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주변의 고층 건물, 크레인, 높은 지형 등이 있을 시 충돌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행 예상 범위가 어느 영역을 얼마만큼 포함하고 있는지 지상에서 자세히 확인해야 합니다.

비행 제어 앱 'DJI GS Pro'로 사용법

DJI 드론과 가장 호환성이 좋은 'DJI GS Pro' 앱을 드론 촬영 제어 앱으로 추천드립니다!
1.
DJI GS Pro 앱을 실행 시킨 후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미션을 생성할 수 있는 버튼이 있습니다. (My Missions)
My Missions 추가 화면
2.
비행 미션을 생성합니다. (좌측 하단 파란색 원 안에 있는 플러스 버튼을 클릭)
플러스(+) 버튼 클릭 화면
3.
클릭하면 5가지 미션 종류가 나타납니다. 그 중 정사사진 촬영을 위한 'Photo Map' 선택.
New Mission 추가 화면
4.
'Photo Map'을 선택하면 'Tap' 과 'Aircraft'가 나타납니다. 그 중 'Tap' 선택. Tap : 화면을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영역 설정 방법 Aircraft : 드론 위치를 기준으로 웨이포인트를 찍으면서 영역 설정하는 방법
'Tap' 설정 후 화면에 지도가 나타나며 비행 구역 그리기를 합니다.
원하는 촬영 지역에 크기에 맞게 그립니다.
비행구역 조절 화면
[Tip]
영역의 각 꼭짓점에 있는 흰 점을 드래그하면 원하는 모양으로 그릴 수 있습니다.
점을 추가하고 싶을 경우 점과 점 사이에 보이는 거리 표시 부분을 터치해 드래그하면 생성됩니다.
점 갯수는 원하는만큼 생성이 가능하며 필요 없는 점은 오른쪽 아래 휴지통 버튼을 눌러 삭제할 수 있습니다.
비행 구역 그리기 완료 후 기본 설정 및 고급 설정을 통해 주행에 대한 구체적인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 설정창에 보면 'Basic', 'Advanced' 2가지 탭이 있습니다.
'Basic' 탭을 통해 '카메라 설정(Camera Model)', '캡처 모드(Capture Mode)', '고도(Height)' 3가지를 맞게 설정하셔야 합니다.
드론 비행 제어 Basic 설정
카메라 설정(Camera Model) : 드론에 맞는 카메라로 선택.
캡처 모드(Capture Mode) : 드론 비행 시 사진 찍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Capture at Equal Time Interval : 동일 시간 간격 기준 촬영으로 진행되는 방식 Capture at Equal Dist. Interval : 동일 거리 간격 기준 촬영으로 진행되는 방식
둘 중 바람의 영향을 적게 받기 위해 'Capture at Equal Dist. Interval'로 진행하는 걸 추천.
고도 설정(Height) : 드론이 비행하는 고도를 정합니다. 주변 상황에 맞게 고도 설정. (고도가 낮을수록 해상도는 높지만 촬영 사진 수가 많아지며 주변 충돌위험이 있음. 주의 사항으로 비행 고도는 드론이 최초 이륙하는 지상을 기준으로 함.)
5.
'Advanced' 탭을 통해 '종중복도', '횡중복도', '코스각도', '미션 종료 후 행동 설정', 4가지를 맞게 설정하셔야 합니다.
드론 비행 제어 Advanced 설정
종중복도(Front Overlap Ratio) : 전진하면서 사진 찍는 중복도를 조정합니다. 중복도가 높아질수록 사진 촬영 장수는 늘어나지만 정확도를 위해 80% 이상 설정을 추천드립니다.
횡중복도(Side Overlap Ratio) : 비행하는 경로의 간격과 개수를 조정합니다. 경로와 경로 사이의 사진을 더 많이 겹치도록 하여 정확도를 더 높일 수 있습니다. 이 역시 80% 이상 설정을 추천 드립니다.
코스 각도(Course Angle) : 드론이 비행하는 경로의 기울기를 조정합니다. 각도를 조절하면서 최적의 비행 경로를 찾으면 비행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미션 종료 후 행동 설정(End-Mission Action) : 드론 비행 완료 후 취할 행동을 지정합니다. Return To Home : 미션 종료 후 이룍 위치로 돌아와 착륙 Hover : 미션 종료한 위치에 그대로 멈춤 Land : 미션 종료 위치에 그대로 착륙 (안전상의 문제로 Return To Home 선택을 추천)
다음과 같은 기본설정, 고급설정이 완료되면 비행을 할 준비가 완료되었습니다.
우측 상단 파란색 배경의 비행기 모양 버튼을 클릭하면 드론 상태 확인 창으로 넘어갑니다.
모든 상태가 확인 된 후 오른쪽 아래의 'Start to fly' 버튼을 눌러 드론을 이륙시킵니다.
이륙 후 모든 촬영이 끝나고 돌아올때까지 계속 모니터링하며 제대로 비행중인지 확인합니다.
드론이 비행경로를 잘 따라가고 있는지 확인은 드론을 날린 조종자가 해야 할 일입니다.
또한 지속적으로 패드를 통해 드론의 상태도 확인해야 합니다. 배터리가 부족하면 'Fail Safe' 기능이 작동하여 미션 도중 중간에 최초 이륙장소로 돌아올 수 있지만 배터리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비행에 문제가 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비행 제어 앱 'Pix4D capture' 사용법

안드로이드 휴대폰 또는 태블릿을 이용 시 'DJI Gs Pro' 앱을 이용할 수 없습니다. 'Pix4D capture' 앱을 이용하셔야 합니다. 또한 'Pix4D Capture' 앱 사용을 위해 'Ctrl+DJI' 앱을 설치해야 합니다.
Ctrl+DJI : 드론과 'Pix4D capture' 연결이 제대로 됐는지 확인하는 앱
Pix4D capture 로그인 화면
1.
'Pix4D Capture' 앱을 실행 시킨 후 계정을 생성하여 로그인 합니다.
새로운 미션 선택 화면
2.
로그인 시 다음과 같이 여러가지 미션 방법들이 제시됩니다. 그 중 'POLYGON MISSION'을 클릭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새로운 프로젝트 생성화면
3.
다음과 같은 화면에서 프로젝트 이름을 설정하여 OK 버튼을 클릭하면 새로운 프로젝트가 생성됩니다.
프로젝트 생성 후 화면
다음과 같이 프로젝트 창으로 넘어오면 '+'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미션을 생성합니다.
새로운 프로젝트가 생성되면 드론의 비행 촬영 지역 설정 과 드론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기 위해 'Ctrl+DJI' 앱으로 이동하라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4.
'Ctrl+DJI' 앱으로 이동하여 'Pix4D capture' 앱과 드론이 잘 연동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ctrl+dji 앱으로 이동 시 나타나는 드론과 비행 제어 앱의 연결중 화면
다음과 같은 화면으로 이동되어 연결중인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연결 완료 확인 화면
5.
다음과 같이 연결이 확인이 됐으면 'Open PIX4D CAPTURE' 를 클릭하여 다시 기존 비행 제어 어플로 돌아갑니다.
드론 비행 경로 설정 화면
[설정 방법]
영역의 각 꼭짓점에 있는 흰 점을 드래그하면 원하는 모양으로 그릴 수 있습니다.
점을 추가하고 싶을 경우 점과 점 사이에 보이는 거리 표시 부분을 터치해 드래그하면 생성됩니다.
점 갯수는 원하는만큼 생성이 가능하며 필요 없는 점은 삭제하고 싶은 점을 선택 후 가까운 다른점과 드래그 하여 겹쳐서 놓으면 사라집니다.
가운데 표시되어 있는 화살표를 움직여 그려져 있는 경로 모양을 원하는 위치로 옮길 수 있습니다.
6.
화면 왼쪽 고도 버튼을 통해 원하는 고도를 설정합니다. 주변 상황에 맞게 설정을 진행해주세요.
드론 비행 고도 설정 화면
- 고도가 낮을수록 해상도는 높지만 촬영 사진 수가 많아지며 주변 충돌위험이 있습니다. - 비행 고도는 드론이 최초 이륙하는 지상을 기준으로 설정됩니다.
드론 비행 시 필요한 환경설정
속도 설정 (Speed) : 드론의 비행속도를 조절합니다. 느릴수록 촬영시간이 길어집니다.
촬영 각도 조절 (Angle) : 비행 시 촬영 될 카메라 각도를 조절합니다. 보통 모델링을 위해 수직 촬영을 기본으로 합니다.
중첩도 설정(Overlap) : 사진 촬영 시 사진과 사진간의 중첩도를 설정합니다. 주로 중첩도가 너무 낮을 시 2D 정사사진 및 3D 모델링이 제대로 되지 않으므로 최소 70% 이상을 추천드립니다.
7.
환경설정을 완료한 후 비행경로를 마지막을 확인 후 'START' 버튼을 클릭합니다.
설정 완료 후 스타트 버튼 클릭 시 화면
8.
촬영 전 드론 자동 비행 관련된 세팅을 마지막으로 점검합니다. (범위와 고도 높이 확인)
드론 비행 전 체크리스트 화면
비행 제어 어플에서 마지막으로 확인합니다. 다음과 같이 초록색 체크표시가 전부 뜨면 'PRESS AND HOLD(3 S) TO TAKEOFF' 버튼을 3초간 클릭하여 비행 시작화면으로 넘어갑니다.
- 한 가지 사항이라도 X 표시 또는 느낌표 표시가 뜨면 비행이 실행되지 않습니다. -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았거나 드론에 SD Card가 있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드론 비행 화면
드론이 이륙 후 다음과 같은 화면에서 촬영이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드론이 비행경로를 잘 따라가고 있는지 확인은 드론을 날린 조종자가 해야할 일입니다.
또한 지속적으로 패드를 통해 드론의 상태도 확인해야합니다. 배터리가 부족하면 'ABORT' 버튼 작동하여 미션 도중 중간에 최초 이륙장소로 돌아올 수 있지만, 배터리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비행에 문제가 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Autel 드론
1. ‘Autel Explorer’ 어플을 실행해 드론 기종 선택 후 ‘Mission’을 선택합니다.
2. 컨트롤러와 전자기기를 연결 후 드론과 컨트롤러의 전원을 켜고 저장된 미션을 선택해주세요.
3. GPS 수신 상태, 카메라 및 조종기와의 연결 상태 확인 후 비행 버튼을 선택합니다.
드론 상태 점검을 하신 후 꼭 수동 비행을 통해 자동 비행 경로 위치에 대하여 비행에 위험이 없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주변의 고층 건물, 크레인, 높은 지형 등이 있을 시 충돌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행 예상 범위가 어느 영역을 얼마만큼 포함하고 있는지 지상에서 자세히 확인해야합니다.
4. 비행 전 마지막으로 SD카드 유무 또는 용량의 잔량, 배터리 잔량 등 상태를 체크하고 FLY 버튼을 누르면 자동 경로 비행이 시작됩니다.
드론이 비행경로를 잘 따라가고 있는지 확인은 드론을 날린 조종자가 해야 할 일입니다.
또한 지속적으로 전자기기를 통해 드론의 상태도 확인해야 합니다. 배터리가 부족하면 'Fail Safe' 기능이 작동하여 미션 수행 중간에 최초 이륙장소로 돌아올 수 있지만 배터리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비행에 문제가 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드론과 컨트롤러 사이에 가로막는 것들이 없어야합니다. 실내, 차량 안, 교량 아래에서 비행하거나 드론이 비행하고있는 방향에 건물 또는 산 등이 컨트롤러와 너무 가까운 경우 신호가 끊겨 사진이 저장 안되거나 신호가 끊겨 추락할 위험이 있습니다.
5. 촬영 면적이 넓은 경우 중간에 배터리 교체 후 이어서 비행해야합니다. 드론 배터리가 30% 남았을 때 홈포인트로 불러오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드론이 최초 이륙했던 홈 포인트에 최대한 가깝게 착륙하지만 홈 포인트 주변에 장애물이 있다면 수동 조작으로 착륙 포인트 조정이 필요합니다.
홈 포인트 위에 도착했을 때부터 수동 조작 가능
6. 드론 착륙 후 전자기기에 ‘Last mission net completed, continue or not?’라는 문구가 나오면 ‘NO’를 선택합니다.(YES 버튼을 누르면 촬영된 정보 초기화 후 이어 비행 불가)
7. 드론의 전원을 끄고, 배터리 교체 후 전원을 켜 위 3.과 4. 과정을 반복합니다. 이후 패드에 ‘Last task not completed, please choose the next action.’라는 문구가 나오면 반드시 ‘Resume’ 버튼을 선택합니다. (Re-execute 버튼을 누르면 촬영된 정보 초기화 후 이어 비행 불가)
8. 경로 비행이 완료되면 컨트롤러와 드론의 전원을 끄고 SD카드를 꺼내 플랫폼에 업로드합니다.
새로운 Mission 생성 방법
1.
Polygon → create project 선택해 경로를 원하는 촬영 지역에 맞게 조절해줍니다.
[Tip]
각 꼭짓점에 있는 흰 점을 드래그하면 원하는 모양으로 그릴 수 있습니다.
점을 추가하고 싶을 경우 점과 점 사이에 보이는 + 부분을 터치하면 생성됩니다.
점 갯수는 원하는만큼 생성이 가능합니다.
2.
화면에 연필 모양을 눌러 카메라 각도, 경로 각도, 중복도, 고도, 비행속도를 설정합니다.
비행 고도(Altitude) : 홈 포인트의 지면을 기준으로 드론의 비행 높이를 설정합니다.
고도가 높아질 수록 사진 촬영 장수는 줄어들지만 정확도를 위해 보통 80~120m 설정을 권장하며, 반드시 수동 비행으로 경로 내 가장 높은 건물이나 크레인, 지형 등의 높이를 체크해 적절한 고도로 설정해야 합니다.
종중복도(Front Overlap) : 전진하면서 사진 찍는 중복도를 조정합니다. 중복도가 높아질수록 사진 촬영 장수는 늘어나지만 정확도를 위해 75% 이상 설정을 추천드립니다.
횡중복도(Side Overlap) : 비행하는 경로의 간격과 개수를 조정합니다. 경로와 경로 사이의 사진을 더 많이 겹치도록 하여 정확도를 더 높일 수 있습니다. 이 역시 75% 이상 설정을 추천 드립니다.
경로 각도(Course Angle) : 드론이 비행하는 경로의 각도를 조정합니다. 각도를 조절하면서 최적의 비행 경로를 찾으면 비행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비행 속도(Speed) : 드론의 비행 속도를 조정합니다.
9m/s or 36km/h 설정을 추천드립니다.

1.6 드론 촬영 제어 앱 사용 시 주의사항

DJI 드론
설명되지 않은 부분이 있나요? 걱정하지 마세요! 지원팀(help@meissa.ai)으로 이메일을 보내주세요